반응형

수학 2

최소공배수와 주기매미(17년 매미) 정보 및 영상+자막

최소공배수 단원에서는 빠질 수 없는 실생활 소재가 주기성을 가지는 매미의 출현이죠. 미국을 비롯한 북미 지역에서는 주기성을 가지고 출현하는 매미들이 지역마다 수십억 단위로 출현해 화제가 되기도 하고 골치가 되기도 한답니다. 지난 2020년에는 조지아주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2003년 이후 17년만에 주기매미(periodical cicadas)의 대발생이 일어나 뉴스가 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5, 7, 13년의 주기를 가지는 여러 종류의 주기매미들이 있는데, 공통점은 소수(素數, prime number)라는 것이죠.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매미가 해마다 나오기 때문에 이런 소식이 바로 와닿지는 않는데, 사실 우리나라에 많이 사는 참매미와 유지매미도 5년의 주기를 가진다고 합니다. 다만 세대별로..

중1수학 2022.03.17

소인수분해 단원 도입과 구체적 조작 활동의 중요성

다음 그림은 제가 사용하는 천재(이준열) 교과서의 도입 활동입니다. 수학 교사의 입장에서 이 활동의 의도와 결론은 매우 명백해 보입니다. 교사는 구체적 조작물 없이도 정신적 표상을 조작하여, '한 줄로만 배열할 수 있는 개수로 5, 7이 있다. 이들은 약수가 1과 자기 자신뿐이라는 특징이 있다.'는 답을 너무나 뻔하게 내놓을 수 있습니다. 별다른 준비 없는 상태에서의 수업이라면 학생들이 생각해 보게 한 뒤, 전체 학생에게 또는 특정 학생을 지목하여 1번 표에 들어갈 내용과 2번에 알맞은 대답을 말하게 하겠죠. 제 경험 상 대부분의 경우 질문에 올바로 답할 학생이 반에 한두 명 이상 있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들이 이 내용을 쉽게 처리한다고 믿고 이어지는 개념으로 진행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사실 지금까지..

중1수학 2022.03.09